오늘은 본격적인 수업에 앞서서 '코어 근육의 중요성'이라는 영상 한 편을 시청했다.



요즘 들어 어딜 가도 '코어'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되는 것 같다. 코어 근육만 집중적으로 단련시키는 체육관도 성행하고 있을 정도다. 


사부님은 "제대로 된 정종 문파에 가서 수련하면 자연스럽게 코어 근육이 발달한다"면서 "새삼스러울 게 없다"고 덧붙이셨다. 확실히 어떤 무술이건 하체를 견고하게 다지면서 몸의 무게중심을 바로 잡는 건 기본 중의 기본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코어 근육이 발달하게 된다. 내가권의 참장도 그렇고, 외가권의 기마자세 단련도 마찬가지다. 정종 문파에서 제대로 된 무술을 수련하는 사람이라면 굳이 코어, 코어하면서 별도의 운동법을 따로 찾아 배울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너무 어려웠던 활의 구조에 대한 개념


사부님은 "활의 모든 부위 명칭을 외울 필요는 없다"고 잘라 말씀하셨다. "그런 명칭 몰라도 활 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정말 중요한 부위만 알면 된다"며, "명칭보다 중요한 건 부위별 세기다"라고 하셨는데, 활의 윗장과 아랫장이 제작 단계에서부터 이미 강/약이 다르게 제작된다는 것이다. (참고로 활은 손으로 잡아 고정시키는 줌통을 기준으로 위를 윗장, 아래를 아랫장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활을 얹고 부릴 때(활 시위를 활 몸체에 걸고 푸는 것을 각각 얹는다, 부린다로 표현한다)에도 아랫장에 더 많은 힘을 가해 휘어서 활줄을 걸어야 한단다.


사부님께서는 친절하시게도 물리학 법칙까지 인용하면서 설명을 해주셨지만, 원체 머리가 나쁜 나로서는 한 번에 이해할 수가 없었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절피(활 시위에 덧대어 감은 끈으로, 여기에 화살 오늬를 끼워 발시한다)가 활 시위 정중앙이 아니라 조금 더 위에 감겨있는 이유도 설명을 해주셨다. 그런데 이 역시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내가 진짜 머리가 나쁜 건가. 제대로 이해하지도 못한 내용을 함부로 옮겨 적었다간 오히려 잘못된 정보를 유통시키는 꼴이 될 것 같아, "모르겠다"고 솔직히 고백한다. 그저 묵묵히 배우면서 사부님께 계속 설명을 듣는 수밖에. 여하간 사부님의 친절한 설명에도 이해하지 못했다고 고백할 정도로, 활이란 참으로 어려운(?) 무기다. 


'좌궁/우궁'의 개념에 대해서도 설명을 들었다. 흔히들 오른손잡이들은 왼손으로 활체를 잡고, 오른손으로 화살을 끼워 당겨 발시하는데, 이를 '우궁'이라고 한다. 좌궁은 그 반대개념이다. 그런데 왼손잡이가 활을 좌궁으로 쏘면 좌궁이 되고, 오른손잡이가 활을 우궁으로 쏘면 우궁이 되는 게 아니다. 활 자체가 이미 제작단계에서부터 '좌궁', '우궁'으로 그 성격이 명확히 정해진 상태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우궁의 경우 도고자(활시위 끝이 걸쳐지는 부분)가 오른쪽으로 휘어있고, 좌궁의 경우 그 반대로 휘어져있다. 그래서 좌궁을 우궁으로 쏘거나, 우궁을 좌궁 방식으로 쏘게 되면, 활시위가 벗겨지며(활이 뒤집힌다라고 표현함) 자칫 부상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 좌/우궁의 차이에 대해서도 직접 활을 요리조리 살펴보면서 확인해봤지만, 도무지 어디가 휘었다는 건지 알 수가 없었다. 내가 초보자라 캐치를 못하는 것인지, 진짜 신체감각이 아둔한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함부로 활을 내서는 안된다


어렵기도 어렵지만, 활은 상당히 위험한 운동이기도 하다. 그 근원이 역시 살상기술인 무예이다보니, 위험하지 않은 게 이상한 일이기는 하다. 사부님은 "만약 활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없이, 활을 마구잡이로 쏘게 되면 장담컨대 20년 내로 몸이 망가져서 고생할 것이다"라고 단호하게 말씀하셨다. 일단 활 자체가 탄성이 대단한 무기이기 때문에, 엄청난 힘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억지힘을 쓰면 당연히 몸에 무리가 가지 않겠는가.



여기서 '온깍지'와 '반깍지'라는 개념이 나오는데, 활시위를 당긴 손을 놓으며 발시를 할 때, 화살을 발사하는 동시에 화살을 잡았던 뒷손을 뒤로 강하게 뻗는 동작을 '온깍지'라고 한다. 그리고 반깍지는 뒤로 멀리 뻗지는 않지만, 어쨌거나 팔을 뒤로 살짝 퉁겨주는 동작이다. 이는 활의 강한 탄성으로 인한 충격을 최대한 밖으로 흘려보내기 위한 동작이다. (이때 활을 잡고 있는 손 역시 밀어주어, 그 충격을 밖으로 배출한다)


만약 위의 원칙들을 무시하고 활을 쏘게 될 경우에는, 활이 주는 충격파를 몸이 그대로 흡수하여, 몸에 무리가 가는 것은 당연지사. 활을 실제로 당겨본 사람들은, 그 탄성이 얼마나 어마무시한지 알 것이다. 그 탄성을 내 몸에 그대로 흡수한다고 생각해보라. 20년이 아니라 1년만 그렇게 해도 몸이 망가질 것이다.


사부님은 "마찬가지로 빈 활 역시 함부로 당겨서는 안된다"고 강조하셨다. 화살을 걸고 쏘는 경우에는, 활의 탄성이 화살에 실려서 그 충격이 완화되지만, 빈 활을 당겨서 쏠 경우에는 그 충격파가 내 몸에도 그대로 전달될 뿐더러, 활에도 고스란히 전달된다. 그런 식으로 빈 활을 몇 번 당기다보면, 얼마 못가서 활을 못 쓰게 될 수도 있다고. 그래서 빈 활은 당겼다가 천천히 놓는 식으로만 수련해야 한단다.



이런 이론 수업을 들으며 실기 수업을 병행하였는데, 오늘은 '활 얹고/부리기', 그리고 활의 기본 보법인 '비정비팔(非丁非八)' 자세와 그 자세에서 빈 손으로 활을 잡았다고 가정하고 활을 들어 쏘는 연습을 했다.


활은 양생에 좋은 전신운동


솔직히 특강을 듣기 전까지만 해도, 활이 '전신운동'이라는 점에 대해 공감하지 못했다. 그런데 사부님으로부터 이론 설명을 들으면서 왜 활을 두고 전신운동이라고 하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솔직히 건강 생각으로 활을 배우는 거라면, 활쏘기 하나만으로도 평생 건강은 충분히 챙길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까지 들었을 정도다. 우선 하체를 견고히 하여 무게중심을 정확히 잡는 과정에서 '코어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활은 팔의 힘으로 당기는 게 아니라, 상체의 척추를 이용해 당기는 것이다. 결국 온 몸 전체로 활을 당기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러다보니 활 한 번 쏘는 데 전신운동이 절로 되는 것이다. 여기에 올바른 호흡까지 더한다면, 활쏘기는 근력 뿐만 아니라 내가적으로도 큰 효과가 있지 않을까?


베테랑이 무섭다


사부님은 마지막으로 "활을 쏠 때는 항상 정신을 차리고 쏴야한다"고 강조하셨다. 정신줄을 놓고 활을 당기다보면, 낙전(당긴 활에서 화살이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함)하는 경우도 종종 생기고, 잘못하면 자신의 손등을 뚫어버리는 경우도 있다는 것. 또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입힐 수도 있을 것이다. 모든 무예가 그렇지만, 활은 특히 위험하다. 이미 쏘아버린 화살을 되돌릴 수 없는 탓이다. (오죽하면 '화살은 이미 떠났다'는 관용적 표현이 있을까)


이를 강조하면서, 사부님은 "원래 베테랑이 무섭다. 무사고 10년을 강조하는 운전수야말로 정말 위험한 운전수다"라고 하셨다. 베테랑들은 그만큼 자신이 있으니까, 사고에 대해 더 무심하게 된다는 것. 활쏘기 역시 마찬가지여서, 활을 오래도록 잡은 사람일수록 근거 없는 자만감에 생각 없이 쏘다가 실수하는 경향이 더 잦다고 한다. 그래서 항상 겸손하게, 그리고 집중해서 활쏘기에 임할 것을 당부했다. 물론 이것은 활쏘기 뿐만 아니라 삶을 살아감에 있어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충고라, 더욱 와닿았던 것 같다.

Posted by 가베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