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2년 10월 1일에 신도림 디큐브시티에서 열린 '무예24기 공연' 당시 촬영한 영상입니다.

시연자는 저희 '무예24기 한양류'의 장원주 사부님이십니다. 저도 이 공연에 참가하긴 했는데, 당시에는 배운 게 별로 없어 권법 공연에만 참여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사부님 혼자서 기창, 본국검, 월도 등 나머지 모든 공연을 다 하셨죠. 

오랜만에 외장하드를 뒤적이다가 당시 촬영한 '본국검'과 '기창' 영상을 발견했습니다. 의외의 수확이었습니다만, 나머지 공연 영상을 찾지 못해서 아쉽습니다. 사실 이날 사부님이 보여주신 월도 시범이야말로 하이라이트였거든요.

사부님께서는 "당시 장소가 너무 좁아서 제대로 못 보여줬다"며 옛날 영상을 다 지워버리라고 하셨지만... 제가 볼 때는 이 정도도 대단한 것 같습니다. 장소가 비좁다보니 약식으로 진행했다는 점을 감안하고 보시기 바랍니다.


Posted by 가베치
,

어제 드디어 이태원 대학교 과목인 <조자룡창술배워볼과>가 개강했습니다. 강의장소는 이태원에 위치한 한남동 공영주차장/문화센터 옥상이고요. 학과장인 저를 포함해서 총 6명이서 단촐하게 수업을 진행하게 됐습니다. 사실 다른 과목들 중에서도 인기강좌 아니고서야 대부분 평균 수강인원이 3~4명을 웃돌더라고요. 그에 비춰보면 꽤 선방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계속 이태원 대학교나 신촌대학교에서 활동하게 될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여기서 꾸준하게 자리잡아가게 된다면, 입소문을 타고 점점 늘어나겠죠.


아무튼 날씨가 좀 쌀쌀해서 걱정이었는데, 그래도 오후에는 수련하기 알맞은 날씨였습니다. 너무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은... 가장 수련하기 좋은 날씨여서 스타트부터 기분 좋게 끊었던 것 같습니다.


첫 수업은 가볍게 자기소개와 각자 수업을 듣게 된 동기를 발표하고, '무예도보통지'와 기창(旗槍)에 대한 소개로 시작했습니다. 이어서 체술(몸풀이), 창술의 가장 기초가 되는 '봉 돌리기', '반월', '찌르기', '보법' 등을 지도했습니다.


제 수강생 중엔 현직 기자부터 과거에 마상무예를 오래 수련했던 분, 군대에서 만났던 무예24기 마니아, 운동이라고는 한 번도 안 해보셨다고 하는 분까지 다양한 분들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다양한 수준의 수강생들을 한꺼번에 지도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소수인원인데다가 다들 열정적으로 잘 따라오고 있어서 크게 힘들지는 않았습니다. 


그래도 누군가를 지도한다는 건 개인수련에 비해 몇십 배는 힘든 일이 분명합니다. 개인수련할 때는 당연하게 생각하고 해왔던 부분들이 초학자들에겐 '당연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간의 괴리가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아주 차근차근 기초부터 설명해야하는데, 여기서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지도하는 제 자신조차도 확실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존재하거나, 몸으로는 이해하고 있는데 말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런 강의가 있을 때면 항상 전날에 미리 지도할 부분을 생각해보고, 혹시라도 초학자들이 의문을 품을 법한 부분을 떠올려봅니다. 어떻게 설명을 해야할지 고민도 해보고, 제가 하고 있는 자세에 대해 스스로 점검을 해봅니다.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사부님께 긴급 S.O.S를 청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것도 다르고 생각하는 것도 달라서, 예상치 못한 곳에서 훅 치고 들어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당황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설명을 해야하는데, 아직 그런 스킬이 부족합니다. 그렇다는 건 제 실력이 많이 미진하다는 증거이기도 하고, 아직 지도자로서의 관록이 덜 쌓였다고도 볼 수 있겠죠.


솔직하게 밝히거니와, 여전히 누군가를 가르친다는 건 매우 조심스럽습니다. 제 자신 스스로 '단기 세미나'를 통한 지도자 연수 등의 방식을 매우 싫어할 정도로, 무예란 단시간 내에 성취를 이룩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점에서 그렇게 오랜 기간 무예를 수련했다고도 볼 수 없고, 스스로 소성(小成)조차 이루지 못했다고 생각한 제 자신이 누군가에게 감히 지도를 한다는 게 두렵기까지 합니다. 


그러나 사부님께서 허락을 해주셨고, 누군가를 지도하면서 제가 얻는 부분도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계속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 가지 원칙은 분명히 세워두려고 합니다. 잘 알지도 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함부로 말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저도 모르게 모르는 걸 아는 척할 때가 있어서 항상 경계하고자 하는 부분입니다. 만약 제멋대로 한다면 그야말로 사이비 무술가나 다름 없겠죠.


아무튼 수강생들에게 올바른 자세와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기 위해, 제 자신도 수련을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Posted by 가베치
,

오늘 저녁 이태원에 위치한 용산문화예술창작소 연습실에서 '이태원대학' 10월 개설강좌 PT 발표가 있었습니다. 저도 한양류를 대표하여 오늘 발표에 참여했습니다.


참고로 이태원대학은 열정대학, 신촌대학교처럼 '배우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배울 수 있는 학교'라는 취지로 만들어진 대안학교의 일종입니다. 강의실로 활용하려는 용산문화예술창작소가 이태원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태원대학이란 이름이 붙었고요. 올 10월에 첫 학기가 시작되는데, 저 역시 초대 학과장으로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이태원대학에 제가 개설하려는 강좌는 <조자룡창술배워볼과> 입니다. 강좌명은 이태원대학을 운영하는 MBN 윤범기 기자님이 직접 지어주셨습니다. 역시 기자님답게 네이밍 센스가 보통이 아니시더군요.



<조자룡창술배워볼과>는 무예24기 중 하나인 기창(旗槍)을 수련하는 과목이 될 것입니다. 이태원대학 학사과정상 4주 커리큘럼이 원칙이지만, 4주 안에 기창을 배우는 것은 너무 짧은 것 같아 5주로 늘렸습니다. 무예를 익히게 5주도 당연히 짧습니다. 무예란 평생 수련하는 것이니까요. 어쨌든 제가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선 최대한 하는 게 도리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5주면 그래도 창과 친숙해지는 데는 충분한 시간이라는 생각입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역시 '무예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거죠. 오늘 피티 발표 때도 그 점을 강조했습니다.


"우리가 흔히들 무예하면 어렵고 위험하고 남자들만 하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나도 겁이 많다. 위험하기 때문에 더 안전하게 한다"고 강조하면서, 무예에 대한 편견을 깨는 게 수업 목표라고 이야기했습니다. 더불어 이 관심이 실제적인 수련으로 이어진다면 더할 나위 없죠. 꼭 무예24기가 아니어도, 근처 무술도장에만 등록하더라도 좋겠습니다.


다행히 창을 대체할 수련용 봉은 이태원대학 측에서 운영비로 보조한다고 합니다. 고로 수업을 듣는 분들은 봉을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장소는 보라매공원으로 하려다가, 창작소 옥상에 가보니 비교적 넓어서 할 만할 것 같더군요. 거기서 하면 봉도 보관해둘 수 있으니 운반 문제도 자연스럽게 해결이 될 것이고... 일단 5명 미만이면 폐강이라고 제가 기준을 세워놨습니다. 기왕지사 칼을... 아니, 창을 뽑았으니 뭐라도 찔러(?)야하지 않겠습니까. 폐강만 안된다면 좋겠군요.

Posted by 가베치
,

매일 같이 폭염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푹푹 찌는 날씨 탓에, 가만히만 있어도 땀이 줄줄 흐릅니다. 어딜 나가기가 참 겁이 나는 요즘입니다. 무예 수련하기에 가장 힘든 계절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그래도 촉한음서(觸寒飮署)라고 했으니... 무예 수련을 게을리해서는 안되겠습니다.


요근래 저는 기창(단창)의 매력에 푹 빠져서, 기창 위주의 수련을 하고 있습니다. 길쭉한 창을 쭉쭉 뽑아 찌르고 베는 맛이 남다른 것 같습니다. 칼 수련에 한창 빠져있을 때는 뭐든지 베고 싶더니, 창 수련에 빠지게 되니 이젠 창을 들고 길을 다니다보면, 작은 빈틈만 보여도 푹푹 찌르고 싶은 욕구가 듭니다.


그래서 오늘은 오랜만에 보라매공원에 기창을 들고 가서 수련을 했습니다. 먼저 지난 정규전수 시간에 배운대로, 화단의 풀잎을 하나의 표적으로 설정해놓고, 기본이 되는 찌르기(刺)와 베기(磨)를 반복 연습했습니다. 확실히 표적이 있으니 집중도 더 잘되고, 재미도 있습니다. 반복하면 할수록 정확도도 올라가고, 창에 힘도 실리는 게 느껴집니다. 이렇게 창 하나만 해도 수련해야 할 과정이 상당한데, 언제 24기를 다 숙달시키나... 이럴 때면 참 막막함을 느낍니다.


아무튼 기본기를 반복 연습하고, 기창 투로를 몇 번 반복해서 연습을 했습니다. 확실히 찌르기와 베기 연습을 하고 난 뒤에 투로를 연습하니 훨씬 동작들이 부드럽게 이어지더군요. 그리고 공연 연습 때와 달리 동작의 의미를 하나 하나 분석하면서 제대로 수련을 하려고 하다보니, 동작들의 의미에 대해 계속 의문이 듭니다. 몇몇 동작들에 대해 벌써 의문이 생겼는데, 이건 정규전수 시간에 사부님께 여쭤보고 답을 구해야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분석했을 때는, 투로를 빠르게 진행했을 시에 마지막 '우일자-좌일자-후일자-전일자' 구간에서 보법이 엉키는 부분이 있습니다. 상체는 무거운 창을 들고 계속 전환하는데, 전후좌우 사방으로 계속 움직여야 하다보니, 아직 보법이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천천히, 기본 보법을 지키면서 한 걸음씩 숙달하려고 신경쓰고 있습니다. 또한 '퇴산색해세'를 할 때에도, 복호세에서 전환할 때 자연스럽게 전환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역시 반복 연습만이 답이겠죠.


아무튼 수련은 재밌는데, 날이 덥다보니 쉽게 지치는 것이 함정이네요. 기본기 연습에 이어, 달리다가 중간에 갑자기 멈추면서 창으로 가상의 적을 찌르는 연습을 했는데, 날이 더워 금세 지치다보니 조금만 뛰어도 몸의 힘이 쭉 빠집니다. 티셔츠는 이미 땀으로 흠쩍 젖었고, 바지도 땀으로 젖어서 땀띠가 날 지경입니다. 여름이라 그런 건지, 아니면 체력 단련을 꾸준히 하지 않아 부실해진 건지 알 수가 없습니다. 여하간 여름철 수련이 제일 힘든 것 같습니다.


Posted by 가베치
,



가만히만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를 정도로 덥습니다.


안그래도 2박 3일 동안 캠프 다녀오느라, 몸도 지칠대로 지친 상태여서 아침에 눈을 뜨고서도 '오늘 수련을 가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을 많이 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오늘 수련을 빠지면 일주일을 또 후회할 것 같아서, 무거운 몸을 이끌고 정규수련에 참여했습니다. 날이 더워서 조금만 움직여도 옷이 땀으로 흠뻑 젖고, 뜨거운 햇살에 금세 지치기도 했지만, 집중해서 수련을 하다보니 시간 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오늘은 '기창(단창)' 연습을 위주로 했습니다. 사부님께 기창 투로를 전체적으로 점검받고, 기본기 중 찌르기 자세를 지도받았습니다. 저렇게 화단의 작은 풀잎을 표적으로 삼아 찌르는 연습을 했는데, 일단 첫 번째 영상에서는 팔힘을 쓰지 않고 온전히 하체 힘으로만 찌르기를 하고 있습니다. 모든 무예가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하체에서 힘이 나오기 때문이죠. 처음에는 하체의 힘만으로 창을 찌른다는 게 어떤 느낌인지 감이 오질 않아 힘이 전혀 실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반복하다보니 어느 정도 감이 오더군요. 진보로 나가다가 표적에 닿는 순간 정지하면서 뒷다리에 힘을 실러 팍 찔러주니 힘이 실립니다. 바로 두 번째 단계로 나가 상체 힘까지 같이 쓰니 위력이 배가 되는 걸 느낍니다. 표적을 정해놓고 하다보니 집중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 찌르기시 고질적으로 드러나는 '삽질' 문제도 교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두 번째 영상은 같이 수련하는 친구가 찌르기 연습을 하는 영상인데, 저렇게 표적지를 만들어서 찌르기 연습을 해봤습니다. 풀잎보다 저렇게 푹 찌르면 찢어지는 과녁이 있으니 더 재밌더군요.



이건 제가 찌른 종이입니다. 찌르기 연습 도중에 사부님께서 갑자기 바닥에 굴러다니는 종이조각을 하나 주워서 '여기 빨간 부분을 표적이라 생각하고 찌르라'고 주문하시더군요. 집중해서 찔렀는데 푹 들어가서 기분이 좋았습니다. 

Posted by 가베치
,

최근 기창(旗槍) 교정을 받기 시작하면서, 집에서 개인수련을 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습니다. 일주일에 한 번 전수에 나오는 걸로는 당연히 공(功)을 쌓을 수가 없으니까요. 다행히도 함께 무예를 수련하는 형님께서 기창을 선뜻 빌려주셨습니다. 현재 일이 바빠 수련터에는 못 나오고 계시는데, 기창은 집에 보관하기가 버겁다고 수련터에 맡겨놓고 가셨거든요. 제가 잘 관리하는 조건으로 빌려왔습니다.



기창을 가져오기 위해 어제 수련터에 갔는데, 창 끝이 빠져있길래 사부님과 본드를 이용해 수리했습니다. 하루 정도는 그대로 놔두라고 하셔서, 어제는 수련을 못 하고 오늘 드디어 옥상에 올라가 휘둘러봤습니다. 수련터에서 쓰는 공용 기창보다는 가벼운 듯한데, 아무래도 봉 재질이 훨씬 가벼운 재질인 것 같습니다. 차라리 이렇게 무게가 덜 나가는 걸로 자세를 연습하고, 점점 무거운 창으로 심화시켜나가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창날이 예리하게 갈려있지는 않지만, 창 끝은 뾰족합니다. 그라인더 같은 걸로 갈면 아마 진짜 위험한 흉기(?)가 될 것 같습니다. 워낙 긴 데다가, 창 끝이 뾰족하다보니 조심스럽게 다뤄야 할 듯 합니다. 그리고 기창이라는 단어 뜻 그대로, 원래는 깃발이 달려있어야 합니다만 따로 달아놓지는 않은 상태더군요. 이게 깃발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상당히 큽니다. 그냥 하는 것보다 깃발이 펄럭이는 게 훨씬 뽀대(?)도 나고, 펄럭펄럭 소리가 경쾌하여 휘두르는 맛이 나거든요.



Posted by 가베치
,


『무예도보통지』 기창(旗槍)


增(증)


창날 길이 9촌, 자루 길이 9척, 붉은 칠을 한다. 주석판 이하에서는 검은색·흰색 칠을 모두 5마디로 하고, 혹은 누런색이나 붉은색의 작은 기를 단다. 


『엄주사부고( 州四部藁)』에 이르기를, "문황제(大明 成祖황제)의 어창(御槍: 임금님의 창)은 오문루(午門樓)의 포좌(座:어탑) 오른쪽에 두었는데, 창은 칠한 합죽으로 자루를 알고, 검은 정기를 달았는데, 약호(若號)중에 늘어뜨린 단 중에는 여러 가지 별들을 수놓았다. 창자루에는 칼자국이 세 군데나 있고, 화살 구멍이 다섯이나 있었지만, 기록에 의하면 문황(文皇)이라 칭했다. 


그는 매번 대적을 만나면 문득 용감한 기병(驥騈)을 거느리고 중견으로 부딪쳐 들어가서(中堅:『후한서』「광무제전」에 '그 중견을 부딪쳐 들어가서...' 注에 중군장 지존이 기거하므로 견고하고 정예로써 스스로를 도우게 되어 있기 때문에 중견이라 한다.) 적 후방을 에워 싸고 깃발을 흔들면 군사들이 다투어 분전하니 적은 순식간에 크게 무너진다."


『고려사』「여복지(輿服志)」에 이르기를, "임금의 수레에 의장병으로 소기창대(小旗槍隊)의 장교(將校)가 2명이 연등한다(고려에는 팔관 연등회가 있다)." 기는 노부(의장병이다. 진·한 때부터 그 이름이 시작된다)은간 (작은 대나무) 작은 기창 이다.


案(안)


문황의 창은 기병의 무기이다. 『고려사』「여복지(輿服志)」에 실려있는 것은 의장용 무기이다. 기를 단 창을 인용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이다. 무릇 군의 행렬(5열 종대이기 때문에 군오(軍伍)라 함)은 각각의 장수가 무기를 잡고 이어서 치고 받는 자세를 연습한즉 대저 깃대를 단 창대에 날을 붙인 것은 그 치고 찌르는 술(무예기법)을 전하려 하는 것이니 오히려 현명하지 않겠는가? 호미와 고무래(『회남자』주에는 흙덩이를 부수는 연장이다)도 병기가 된다. 이에 별도로 하나의 창으로 갖추어 그 자세를 익힌다.


번역문 출처: 한국전통무예연구소(www.muye24ki.com)


[초식]


1. 용약재연(龍躍在淵)

2. 거극(擧戟)

3. 야차탐해(夜叉探海)

4. 중평(中平)

5. 중평(中平)

6. 진왕마기(秦王磨旗)

7. 한신점기(韓信點旗)

8. 중평(中平)

9. 복호(伏虎)

10. 퇴산색해(堆山塞海)

11. 거극(擧戟)

12. 은교출해(銀蛟出海)

13. 중평(中平)

14. 복호(伏虎)

15. 우일자(右一刺)

16. 좌일자(左一刺)

17. 후일자(後一刺)

18. 전일자(前一刺)

19. 야차탐해(夜叉探海)



Posted by 가베치
,